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데이빗 휴머와 경험주의, 인간성 이해에 대하여 데이빗 휴머(David Hume, 1711-1776)는 스코틀랜드의 철학자이며, 인식론, 경험주의, 도덕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한 대표적인 철학자 중 한 명입니다. 휴머는 1711년 에딘버러(Edinburgh)에 태어났습니다. 그는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고, 이후 프랑스, 이태리 등 유럽을 여행하면서 인류학적 조사를 하였습니다. 그의 첫 작품으로는 1739년에 출간된 '인간 이해에 대한 간략한 트리티스'(A Treatise of Human Nature)가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휴머는 경험주의적 철학을 제시하였습니다. 이후 휴머는 경제학, 정치학, 도덕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하면서 철학적 업적을 이루어냈습니다. 휴머는 미국 독립 전쟁 당시에는 영국 정부의 역할에 대해 비판적인 입.. 2023. 4. 16.
존 로크의 경험론적 철학과 현대사회에서의 응용 존 로크(John Locke, 1632-1704)는 17세기 영국의 철학자이며, 경험론적 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 중 한 명입니다. 그의 생애는 의학, 경제,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였으며, 철학과 관련된 작품으로는 대표적으로 "인간 이해론(Essa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과 "정부론(Two Treatises of Government)" 등이 있습니다. 로크의 철학은 인간의 지식과 인식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하며, 이를 통해 인간의 정치, 경제, 사회적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철학적인 이론을 제시합니다. 그는 인간의 인식능력을 중요하게 보았으며, 인식의 출발점을 경험에 두어 인간의 지식을 경험을 통해 얻는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경험론적 철학 로.. 2023. 4. 16.
데카르트와 근대 철학의 시작 데카르트의 삼단원 데카르트의 철학적 방법론은 "Method" (방법)과 "Discourse on the Method" (방법에 대한 서설)에서 제시된 삼단원(원칙)을 기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이 삼단원은 데카르트의 철학적인 방법론을 설명하며, 그가 제시한 혁신적인 철학적 사유의 출발점을 이루는 중요한 원칙입니다. 의심 원칙 (Skepticism) 데카르트는 모든 것을 의심하는 것이 철학적인 방법론의 시작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인간의 지식과 인식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철저한 의심과 검증을 거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의심은 모든 지식과 관습, 권위적인 것들에 대한 도전적인 태도를 가져오면서, 철학적인 혁신을 이루는 데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분석 원칙 (Analys.. 2023. 4. 16.
르네상스 철학의 출현과 인간중심주의 르네상스 철학은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이어진 유럽 문화의 발전을 말합니다. 이 시기에는 중세 시대의 신학적인 철학에 대한 독립적인 철학적인 사유가 등장하였습니다. 이전의 철학에서는 종교적인 가치와 신앙이 중요시되었으나, 르네상스 철학에서는 과학적인 방법론과 인간 중심적인 세계관이 강조되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르네상스 철학을 과학적 혁명의 시초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르네상스 철학과 인간 주요한 르네상스 철학가들은 고대 그리스 철학이나 중세 철학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으며, 그들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적인 문제들과 중세 철학에서 다루지 않았던 인간의 존재와 사유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철학가들은 인간 중심적인 세계관을 강조하였습니다. 르네상스 .. 2023. 4. 15.